그동안 무인기(드론)와 관련된 국가·국제표준은 제정된 것이 없었으며,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ICAO(국제민간항공기구), FAA(미연방항공청) 등에서 제정된 운항 및 감항인증 관련 기준과 ASTM(미국 재료시험협회) 등에서 제정한 단체표준 10여종이 활용되는 정도였다.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정동희)은 무인기(드론) 분야 처음으로 국가표준(KSW9000, 무인 항공기 시스템- 제1부:분류 및 용어)을 제정하여 12월 30일자로 고시하였다.
기존에 중·대형의 군사용으로 사용되어 왔던 무인기가, 최근에는 소형․저가의 취미․레저용으로 확산되면서 농업용, 감시용, 운반용 등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어, 산·학·연·관 및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용어나 분류를 통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한국드론산업진흥협회를 표준개발협력기관으로 지정(16년 3월)하고 국가표준 개발을 본격화하게 되었다.
이번에 제정된 국가표준에는 ‘대형 무인항공기’, ‘원격 조종’ 등 총 52종의 용어를 정의하였고, 최대 이륙중량에 의한 분류, 운용고도에 의한 분류, 운동에너지에 의한 분류 등 6개 분류체계에 대해서도 규정하고 있다.
최대 이륙중량에 의한 분류는 2kg 이하부터 600kg 초과까지 5단계로 구분한다. 자체중량 150kg 이하는 무인동력비행장치로, 150kg초과 600kg 이하는 중형 무인항공기로, 600kg 초과는 대형 무인항공기로 분류한다. 항공법에는 자체중량 150kg 까지만 규정되어 있다.
운용고도에 의한 분류는 저고도(150m)에서 성층권(50km)까지 4단계로 분류한다. 항공법에서는 저고도인 150m 까지만 비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무인기 추락 사고시 지상에 피해(충격) 정도를 나타내는 ‘운동에너지에 의한 분류’를 1종부터 4종까지로 규정하였다. 운동에너지는 무인기의 중량과 비행속도에 따라 달라지며, 무인기의 중량이 크고 속도가 빨라지면 운동에너지도 커진다.
국표원은 무인기 분류 및 용어에 대한 국가표준 제정을 통해 무인기 용어 사용의 혼란을 해소하고(예, 사업기획, 기술개발, 보고서 등에 “중형 무인기”라 사용할 때 자체 중량 구분인지, 이륙 중량 구분인지, 무인기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것인지를 잘 모르고 사용하게 되지만 KS 제정으로 최대 이륙중량 150 kg 초과 600kg 이하의 무인기만을 중형 무인기로 정의하여 의사소통을 명확히 할 수 있음)
항공법의 범위를 초과하여 최대 이륙중량을 600kg 초과까지, 상승한도를 50km까지로 선제적으로 정함으로써 무인기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운동에너지에 의한 분류는 과학적 자료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무인기 사고의 보험제도 도입시 보험요율 산정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국표원은 앞으로도 무인기 비행체 및 부품의 성능, 시험방법, 물리적 인터페이스(카메라 등 탑재장비 장착부 형상 등), 전기적 인터페이스(전기 커넥터 형상 등), 제품표시방법 등에 대한 국가표준을 제정하고 국제표준 무인기 분과(ISO/TC20/SC16)에도 참여하여, 기술개발과 제조 과정에서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품질과 안전성을 향상시켜 수출을 촉진하며, 저가 불량 수입제품을 차단하여 국내 무인기 산업 발전에 기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참고) KSW9000의 주요 용어
<1> 대형 무인항공기(large UAV): 항공기에 사람이 탑승하지 아니하고 원격조종 또는 자율로 비행할 수 있는 항공기(최대 이륙중량 600kg 초과)
<2>중형 무인항공기(medium UAV): 항공기에 사람이 탑승하지 아니하고 원격조종 또는 자율로 비행할 수 있는 항공기(최대 이륙중량 600kg 이하, 150kg 초과)
<3>무인동력비행장치(light UAV, lsmall UAV, micro UAV): 연료의 중량을 제외한 자체 중량이 150kg 이하인 무인비행기 또는 무인회전익비행장치
<11>관성 측정 장치(IMU, inertial measuring unit): 무인 비행체의 비행 중에 삼차원 자세를 측정하기 위하여 가속도계 3개와 각속도계 3개를 서로 직교하도록 설치하여 각각의 측정치를 수식 처리하는 장치
<12>항법장치(navigation system): 삼차원 공간에서 무인 비행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장치로 인공위성들로부터 신호를 받아 처리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초정밀의 관성측정장치의 측정치를 계산하여 위치를 구하는 관성항법장치 및 지상국의 전파를 측정하여 위치를 구하는 전파항법장치 등
<18>무인 비행체 중량(aircraft weight): 무인 비행체 질량에 중력가속도를 곱한 값으로 성능의 기본요소이고, 비행 중에 연료소모에 의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이륙중량, 자체중량 등과 같이 측정조건을 명확하게 표기해야 함
<19>최대 이륙중량(maximum takeoff weight): 무인 비행체가 이륙할 때 상승할 수 있는 최대중량
<20>자체중량(empty weight): 연료와 탑재물 질량을 뺀 무인 비행체의 중량으로 정의하며 비행을 위한 고정 탑재물은 포함
<21>무인 비행체 속도(airspeed): 무인 비행체는 공기 중에서 날아가기 때문에 공기에 대한 속도인 대기속도로 표시함. 비행고도, 공기의 온도, 대기압 및 밀도 등의 영향을 받음
<23>상승한도(ceiling): 무인 비행체의 비행고도와 동력장치의 성능에 따라 더 이상 상승하기 어려운 고도인데 상승한도 근처에서는 상승률이 점점 작아져서 측정시간이 매우 길어지므로 이론적으로 정한 한도를 절대상승한도라 하며, 상승률이 특정 값 이하에 도달하는 고도를 실용상승한도라 함
<30>육안(visual piloting, visual operation, 시계): 조종주간에 가시거리 내에서 망원경과 같은 보조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맨 눈으로 보고 판단하여 지상에서 조종하는 방식 또는
<31>원격 조종(remote piloting): 멀리 떨어진 곳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신호를 보내어 무인 비행체를 조종하는 방식
<32>자율 조종(autonomous piloting): 무인 비행체에 탑재된 자동제어장치에 의해 미리 설정된 고도, 속도, 자세를 조종하며, 공간상에 정해진 위치나 연속된 위치의 경로점들을 거치도록 조종하는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