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효율 플렉시블 태양전지, 이제 프린팅한다?
고효율 플렉시블 태양전지, 이제 프린팅한다?
  • 최광민 기자
  • 승인 2018.01.24 12: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온공정용 전도성고분자 개발로 최고수준의 고효율 유기태양전지 구현
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고분자 유기태양전지 모듈 제작(활성층 코팅) 과정(사진:KIST)

미래의 핵심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을 태양전지는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이 주요한 과제이며, 특히 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태양전지 생산은 차세대 태양전지를 선도해나갈 기술로 두각을 나타내며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유기태양전지는 고분자 소재의 가볍고 유연한 특성으로 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태양전지 구현에 가장 적합한 기술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보고된 많은 고효율 유기태양전지는 작은 활성영역(0.1 cm2이하)에서는 고효율을 보이나, 넓은 면적에서는 재현성이 낮아 실제 프린팅 공정을 이용한 유기태양전지 상업화에 많은 제약을 갖고 있었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저온에서 높은 공정 신뢰성을 보이며 대면적 제작이 가능한 고효율 유기태양전지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 광전하이브리드연구센터 손해정 박사팀은 대면적으로 프린팅이 가능한 저온공정용 고분자 신소재를 개발하는데 성공하여 이를 태양전지의 광활성층 소재로 사용, 고효율의 유기태양전지를 개발한 것이다.

참고)광활성층(photo-active layer) : 태양빛을 흡수하여 얻은 빛 에너지로 전력을 생산하는 전극사이의 층

KIST 광전하이브리드연구센터 손해정 박사(책임연구원)팀 연구자들이 저온에서 프린팅한 고분자 소재를 광활성층으로 사용한 대면적·고효율 유기태양전지를 테스트하고 있다.(사진:KIST)

KIST 손해정 박사팀은 기존 고분자 광활성층 소재를 대체하는 새로운 고결정성의 전도성 고분자를 개발하여 태양전지 광활성층 소재로 이용하였다. 연구진이 개발한 고분자는 기존보다 높은 용해도를 보여 저온에서 용액을 이용한 공정으로 넓은 면적에서도 손쉽게 광활성층 제작이 가능하였다.

KIST 연구진은 기존의 고결정성 고분자의 지나친 뭉침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제3의 물질(단량체, monomer)를 고분자 공중합체에 도입 및 합성을 통해, 높은 결정성과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보이고, 용액에서 잘 녹아 용액공정에 적합한 새로운 고분자 소재 제작에 성공한 것이다.

태양전지 모듈 outdoor 테스트(사진:KIST)

기존 고분자의 경우 광활성층의 면적을 넓혀서 태양전지를 제작 했을 때 효율의 저하를 보였으나, KIST 연구진이 개발한 신규 고분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효율 변화를 보였으며,  결과적으로 1cm2 활성영역을 기준으로 기존 고분자를 이용한 소자에 비해서 30% 가량의 효율 향상을 보였으며, 최고 9.45%의 높은 광전변환효율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성능은 보고된 비슷한 면적의 유기태양전지 소자 중 최고 수준의 결과이다.

참고) 공중합체(copolymer) : 2종류 이상의 단량체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분자.

기존의 유기태양전지의 광활성층 두께가 100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이상인 경우 낮은 전하이동도 특성으로 효율이 감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점은 태양광을 흡수하는데 제한이 되고, 대면적 프린팅 공정시 활성층의 두께 조절에 있어서 제약이 되어왔다.

KIST 연구진은 개발한 신규 광활성층 고분자 소재로 광활성층의 두께를 350 나노미터(nm) 이상으로 제작했을 때, 오히려 광전변환효율이 향상되는 특징을 보임으로써 대면적 유기태양전지 모듈 제작에 우수한 적합성을 보였다.

KIST 손해정 박사(사진)는 “이번 연구를 통해 유기태양전지의 성능뿐 아니라 대면적화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하며, “향후 유기태양전지의 상업화를 위한 소재 개발에 가이드라인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연구진은 후속 연구로 프린팅 공정을 이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을 제작하고 있으며, 향후 건물 창호나 아웃도어 제품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연구결과는 에너지 분야의 국제학술지 ‘Advanced Energy Materials’(IF: 16.721, JCR 분야 상위 2.05%) 12월 27일(수) 온라인 게재되었으며, 2018년 최신호에 표지논문(Front Cover)으로 선정되어 게재될 예정이다. (논문명) ‘High-Performance and Uniform 1 cm2 Polymer Solar Cells with D1-A-D2-A-Type Random Terpolymers’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